저자 서문
‘개의 경혈학 총서’ 2판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국내 수의학은 선진국에 버금가는 수준 정도로 굉장히 발달하여 왔고, 이제는 감히 선진국 수준에 와 있습니다. 동양의 전통 수의학으로 대표되는 수의침술 및 수의한약부분도 서구 선진국은 굉장한 수준에 이르고 있고, 오히려 한국의 수의사들이 이를 공부하고자 미국 및 유럽 등지에서 교육을 받거나 관련 서적을 들여오는 실정에 있습니다. 한의대생들도 이해하기 힘든 난해한 동양의학 개념이 영어로 옮겨지고, 다시 한국어로 해석하는 과정에서 많은 오류와 개념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를 조금이나마 풀어 보고자 저자는 2004년 ‘개의 경혈학총서’ 1판을 출간하게 되었고, 많은 수의사와 학생들이 임상 및 전통수의학 공부에 필수 서적으로 취급되어 왔습니다. 이번에 출간된 2판에서는 (1) ‘개의 경혈학총서’에 기술된 경혈 지침에 따라 질환 개에 적응을 하였을 때의 효과와 관련된 논문을 수록하였고, (2) 전통수의침술학에서 사용되어온 혈위를 보강하였으며, (3)외국 수의침구학에서 표기한 혈위도 일부 삽입하였으며, (4) 수의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한약 부분도 수록하였습니다. 1판에서 부족한 부분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전통수의학을 총망라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본 책은 현재 중국어로도 번역되어 중국, 일본에서 많은 인기를 가지고 판매되고 있습니다. 전통수의학을 임상에 바로 적응하려고 하는 수의사, 수의침구학을 임상에 적용하고자 하였으나 너무 어려워 포기했던 분들, 전통수의학을 체계적으로 배우고자하는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