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의학 6판 (Textbook of Pain Medicine)
|
|
|
|
|
|
머리말
통증의학을 전공하시는 모든 분께,
통증이 의학의 전문분야로 자리잡는 데는 적지않은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많은 분들의 헌신과 노력 덕분이었고, 그 덕에 통증 분야는 학문적 발전과 함께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하게 되었습니다.1995년부터 대한통증학회 주관으로 “통증의학” 제목의 책을 발간하게 되었고 이제 제 6판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학문이 발전함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환자 치료에 어려움을 겪을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미충족 필요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통증 분야에 대한 학회와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도 이루어야 합니다. 이러한 차원에서 그간 이룬 성과를 바탕으로 교과서를 편찬하는 지극히 당연하고,또한 때에 맞춰 증보개정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최근에는 만성통증이나 암성통증에 대한 치료 요구가 증대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약물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술도 시행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러나 만족할 만한 효과를 이루기 위해서는 통증 발생 기전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여야 하고 이를 통하여 효과적인 치료기술을 개발해야 합니다. 아울러 올바른 진단도 필수적입니다.
현재 수준에서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증의학 전공자에게 제공하는 교과서를 이번에 편찬하게 되어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하며 향 후 더 발전된 증보판이 나오기를 기대합니다.
집필해 주신 저자분들과 감수해 주신 편찬위원 및 학회 관계자 분께 감사드립니다. 아울러 출판을 위해 여러모로 애써주신 메디안북에게도 감사드립니다.
끝으로 제 6판이 통증의학 전공자 여러분께 큰 도움이 되며 또한 무궁한 발전도 이루시기를 기원합니다.
2024. 10.
대한통증학회 교과서 편찬위원회
위원장 윤 명 하
편찬위원회
편찬위원장 윤명하 전남대학교병원
간사 강동호 전남대학교병원
위원 김연동 원광대학교병원
김웅모 전남대학교병원
김은수 부산대학교병원
남상건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문호식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박준모 칠곡경북대학교병원
박휴정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이선열 충남대학교병원
최성수 울산대학교 서울아산병원
집필진 명단
강상수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
고영권 충남대학교병원
김경훈 양산부산대학교병원
김대현 국립암센터
김두환 울산대학교 서울아산병원
김병건 을지대학교병원 신경과
김신형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김연동 원광대학교병원
김웅모 전남대학교병원
김원중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김은수 부산대학교병원
김응돈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김재헌 건국대학교병원
김정은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김지영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김혁구 영남대학교병원
김현중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김현태 충북대학교병원
김형태 울산대학교 서울아산병원
남상건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노운석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두아람 전북대학교병원
명우재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문지연 서울대학교병원
문호식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민경훈 CHA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재활의학과
박선경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박성철 CHA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박정현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박준모 칠곡경북대학교병원
박휴정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서경환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신진우 울산대학교 서울아산병원
심우석 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
심재항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여진석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오진영 경북대학교병원
유용재 서울대학교병원
이도원 부산대학교병원
이상진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승현 성균관대학교 강북삼성병원
이원형 을지대학교병원
이준호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이진영 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
이평복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인치범 건양대학교병원
임윤희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전상윤 동강병원
전영훈 경북대학교병원
정기태 조선대학교병원
정진용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정혜선 중앙대학교 광명병원
최성수 울산대학교 서울아산병원
최은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최종범 아주대학교병원
최지원 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
홍성만 단국대학교병원
|
|
|
※서평을 쓰시면 관리자 확인 후 일정 포인트(1,000포인트이상)의 적립금을 적립해 드립니다.
|
|
|